본문 바로가기

교육/대입 수시

2023학년도서울대학교 신입생들의 서재

독서는 힘이 셉니다. 우리는 독서를 통해 지식을 배우고 자신의 무지를 깨달을 수 있습니다. 책은 우리를 새로운 세계로 나아가게 하며 동시에 겸손하게 합니다.



2024학년도 서류평가부터 학교생활기록부의 독서활동사항이 반영되지 않고 자기소개서가 폐지되어 지원자의 의미 있는 독서경험에 대해 직접 들을 수 없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이 변화가 독서가 더 이상 중요하지 않다는 의미는 아닐 것입니다. 독서활동목록과 자기소개서가 없어도 지원자들이 독서를 통해 쌓아 올린 지적인 역량은 학교생활기록부 곳곳에서 드러납니다. 책은 여전히 중요한 배움의 도구이며 독서로 쌓아 올린 힘은 쉽게 사라지지 않습니다.

서울대학교에 입학한 새내기들의 서재를 통해 자신의 역량을 기르기 위해 노력했던 학생들의 지적인 여정을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책을 읽으며 수업시간에 배운 지식체계를 확장하고, 새로운 관점에서 사고하며, 타인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보는 모습 등을 통해 한 사람의 사유가 점점 더 풍성해지는 과정을 엿볼 수 있을 것입니다.

서울대학교는 여전히 독서를 통해 생각을 키워온 큰 사람을 기다립니다.

 

"감히 이렇게 말해볼까요. 서울대학교는 어느 학교보다도 책 읽는 사람을 환대하고, 또 그런 사람을 놀랍도록 정확하게 선발하는 학교라고요. 어려서부터 고등학교 입학 직전까지 변변한 사교육도 받지 않았고, 지방 인문계 일반고를 다니며 일부 미비한 학교 커리큘럼이나 시스템에서 아쉬움을 느끼기도 했던 제가 서울대학교에서 공부할 수 있게 된 가장 큰 이유는 그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여러분이 읽는 것들은 여러분으로 하여금 많이 생각하게 하고 여러분의 속도로 타자를 향하게 할 것입니다. 그리고 어쩌면 여러분에게 지금 가장 뜨겁고 절실할 '바로 그 목표'를 이루기 위한 실질적인 수단이자 도구가 되어줄 것입니다."

 

자연과학대학 새내기 C의 서재 책은 가장 작고 정제된 외부 세계이기도 합니다. 책은 다른 이들의 경험과 세계를 가장 쉽게 살펴볼 수 있는 수단이며, 온 세상의 과거, 현재, 미래를 이어주는 매개체입니다. 다른 매체와 비교했을 때 책의 큰 특징 중 하나는 현재까지의 매체 중 가장 정제된 형태의 지식과 의견을 전달하는 수단이라는 것입니다. 과거에는 텍스트로만 전할 수 있었던 것들을 현대에는 사진, 소리, 영상 등으로 전할 수 있게 되었지만 대부분의 이론적, 사상적, 기술적인 내용들은 여전히 텍스트를 거치지 않고서는 전달할 수 없습니다. 그러한 추상적인 내용과 지식들은 책을 통해 가장 많이 접할 수 있고, 때로는 책으로만 접할 수 있습니다. 각 학문분야의 최전선을 달리는 내용을 담은 논문은 책, 문서의 형태로 출판됩니다. 고차원적인 지식과 담론을 제대로 습득하고, 또 그러한 지식의 생산에 참여하고자 한다면 그 내용을 담은 그릇이 되는 책과 텍스트라는 매체에 익숙해질 필요가 있습니다.

 

http://snuarori.snu.ac.kr/renew/admission_guide/typical_guide2.ph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