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학년도 3월 전국연합학력평가는 3월 28일(목)에 실시 됩니다.
새학기 첫 평가를 받게 되겠죠?
3월 모의고사 대비? 이렇게 해보세요!
from https://blog.naver.com/eduplex/223015512939
3월 모의고사는 겨울방학을 끝내고 새학년을 시작하며 자신의 실력과 위치를 객관적으로 확인해 볼 수 있는 첫 시험입니다. 또 고1의 경우 중학교를 졸업하고 고등학생이 되어 모의고사라는 시험을 처음 치르게 되기 때문에 낯선 유형의 시험에 당황할 수 있겠습니다. 고3들은 3월 모의고사 결과가 수능까지 이어진다는 말이 있기 때문에 더욱 긴장하면서 시험을 대비하고 있을 것입니다.
고1의 경우 국, 영, 수 모두 중학교 전범위가 출제 범위에 해당됩니다. 따라서 중1~중2에서 배웠던 개념에 대한 복습이 가장 중요한데요. 모의고사는 서술형 문제는 없으며, 주관식과 객관식으로만 이루어져 있다는 점도 체크해야 합니다. 각 과목별 시험시간, 문제 유형을 익히기 위해 고1 3월 모의고사 기출문제를 풀이해 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중학교 시험시간보다 훨씬 긴 시간 동안 시험을 치르기 때문에 집중력을 유지하는 연습을 해보세요.
고2가 되는 학생이라면 수학 전범위와 탐구 과목에 대한 대비를 진행해야 합니다. 고1 1년 동안은 학교 시험범위와 모의고사 시험범위가 같았지만, 고2 3월부터는 전범위가 누적됩니다. 또 사회탐구의 경우 고1 통합사회의 전 범위가 시험범위이기 때문에 부족한 단원이 있다면 남은 겨울방학 동안 복습을 하는 것도 좋습니다. 과학탐구의 경우에는 물리, 화학, 생명 과학, 지구 과학 과목에 따라 1~2단원이 시험범위가 되고, 통합과학은 전 범위를 대비해야 합니다.
고3에게 3월 모의고사 성적표가 대입 전략을 짜는데 의미 있게 사용되는 만큼, 겨울방학을 활용하여 철저한 대비가 필요합니다. 국어의 경우 범위가 1,2학년 전범위로 확대되고, 수학 역시 범위가 확대됩니다. 3월 기출문제를 적어도 3개년 이상은 반복하여 풀어보고, 수학 시험범위에 해당되는 개념과 대표 유형들을 꼼꼼하게 정리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4점 유형의 경우 1~3학년 동안 배운 개념을 모두 활용해야 하기 때문에 중학교부터 고3까지의 모든 수학 공식이나 개념을 적어보며 머릿속에 정리해 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시험 범위 확인 & 목표 세우기
이렇게 시험 일정과 범위를 확인했다면, 그다음엔 목표를 세워야겠죠? 짧게라도 모의고사 대비를 하기로 마음먹었다면 목표를 세우고 그 목표에 따라 집중하여 결과를 만들어내는 것이 좋답니다.
국어 학습을 진행한다면, 이전 시험 결과와 비교하여 '문학과 비문학에서 10점씩 올리기'라든지, '3점짜리 문제 모두 맞추기'라든지, 자신의 학습 수준과 목표에 따라 적절한 목표를 세우면 좋습니다. 구체적인 목표를 세우는 것은 남은 시험 대비 기간 동안 어떤 학습에 초점을 맞출지에 대한 기준이 되어주기 때문에 아주 중요합니다.
목표에 맞는 전략과 계획 세우기
시험이 한 달 정도밖에 남지 않은 만큼, 목표에 따라 맞춤 전략을 세우고 구체적인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지금 내가 학교나 학원 수업을 병행하면서 모의고사 대비에 사용할 수 있는 시간은 얼마나 남아있는지 체크해 보세요.
에듀플렉스/에듀코치 개별지도 수업에서는 담당 학습매니저가 학생의 중장기 진로·진학 목표는 물론 학습 성취와 성향에 따라 적절한 비율로 모의고사 대비를 할 수 있게 합니다. 고등학생이라면 특히, 내신 대비와 모의고사 대비의 균형을 시기별로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평소 학습이 잘 되어있고, 방학에 모의고사 대비를 성실히 해서 이번 시험으로 나의 성과를 점검하고 싶은 학생이라면, 모의고사 전 3주 동안은 모의고사에 더욱 집중하여 실전 대비 연습도 진행하고 모의고사 유형 문제풀이도 하며 부족한 부분을 대비하는 방식으로 학습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아직 모의고사 대비가 부족한 학생이라면, 조급해할 필요 없이 1학기 중간고사 대비와 겹치는 단원이나 개념 위주로 기반 학습을 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모의고사에 맞춰 실전 대비하기
모의고사와 내신은 확실히 다른 유형의 시험으로 보입니다. 시험범위 자체가 매우 넓기도 하고, 내신 시험보다 훨씬 긴 시간 동안 시험을 치르기 때문에 시간 조절과 컨디션 관리도 중요합니다.
모의고사 문제 유형을 많이 접해보지 못한 학생이라면, 과목별로 최소 1회 이상은 미리 모의고사 문제풀이를 진행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지피지기면 백전불태인 만큼, 미리 알고 대비한다면 결과는 만족스러울 것입니다.
아직 한 번도 모의고사를 접해보지 못한 고1 학생들이라면 더욱 실전에 대한 연습이 필요하겠죠? 긴 시험 시간을 어떻게 배분할지, 어려운 문제는 어떻게 처리해야 할지, 어떤 순서로 문제를 풀어야 할지 등을 연습해 보고 나에게 적절한 방법을 찾아보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에듀플렉스/에듀코치 개별지도에서는 학생들이 모의고사에 대한 실전 훈련이 가능하도록 모의시험을 진행하기도 하고, 이전에 진행한 모의고사나 모의시험 성적에 대한 분석 또한 진행합니다. 이 과정을 통해 학생들은 자신의 강점과 보완해야 할 부분에 대해 인지가 가능해지고 더 효과적으로 공부하는 것이 가능해집니다.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적 올리는 법 기본 (1) | 2024.01.21 |
---|---|
대치동 사기 입시 컨설턴트 32.9억 피해 (2) | 2024.01.19 |
교육시설법 등 교육부 소관 3개 법안,국회 본회의 통과 (0) | 2024.01.10 |
2028 대입 개편안 1분 핵심 요약 및 분석 (0) | 2024.01.10 |
의과대학장들, 의대증원 적정규모 '3000명→350명' 입장 선회 (1) | 2024.01.10 |